본문 바로가기

100세 건강 프로젝트

건강한 삶을 위해 폭음 과음은 이제그만 ~~

 

 

 

         건강한 삶을 위해 폭음 과음은 이제그만 ~~

 

술을 줄이기위해서는 한 두잔의 술도 피하기!

술을 줄이기 위한 자신만의 동기를 만들고 주변에 알립니다.
술을 마시지 않겠다는 결심을 주변에 알리고 결심을 지키려고 노력합니다.

본인의 건강 챙기기, 가족에게 미안한 일 만들지 않기, 자녀에게 좋은 부모 되기 등 자신이 적정 음주 권고를 잘 지킬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 봅니다.
가족, 친구, 동료와 같은 주변 사람들에게 “앞으로 술을 마시지 않겠다.” 고 공표를 하여 지속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적정 음주를 위한 결심과 공표의 시기는 기념일, 이삿날, 새해 등으로 선택하여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음주를 권하는 환경에 대비해 방안을 마련해 둡니다.
자신의 음주 습관을 돌이켜 봅니다. 언제, 누구와 함께 하는 술자리에서 술을 마시게 되는지 파악해 봅니다.


‘오늘까지만 마시자’, 혹은 ‘딱 한 잔만 더 하자’ 와 같은 생각이 계속적인 음주로 이어져 결국 폭음을 하게 된다는 점을 인식합니다.
휴대폰, 지갑, 컴퓨터 바탕 화면 등 자주 눈에 띄는 곳에 결심을 적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됩니다.

 

필요한 경우, 지역 보건소나 알코올 상담 전문가의 도움을 받도록 합니다.

계획하기

음주의 목표를 세워 봅니다.
적정 음주가 어느 정도인지 숙지하고, 얼마나 마실 것인지 목표를 정해 봅니다.
필요한 경우 의사와 본인의 적정 음주량을 의논해 봅니다.
다음과 같은 음주 목표를 작성해 봅니다.

[ 나의 음주량 조절 목표 ]
1.절주 / 금주 시작 일자: 년 월 일
2.1일 최고 목표 음주량: ( ) 잔
3.1주일 중 음주일: ( ) 일


스스로 계획 수립이 어려운 경우, 도움을 요청합니다.
음주 자가진단에서 고도 음주자나 알코올 의존성이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온 경우 알코올 전문가의 도움을 받도록 합니다.

절주 환경을 조성합니다.
집안에 술을 놓아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술 대신 음료, 과일 등의 간식을 준비하여 술 생각이 날 때 먹을 수 있도록 합니다.

스트레스는 피하도록 합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음주의 경우 과음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자리를 가급적 피하도록 합니다.


운동, 여가활동 등 술을 대신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봅니다.

술자리에서의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합니다.
술을 권유받은 경우, 자신이 술을 마시지 않음을 단호히 밝힙니다.
빈 속에 술을 마시지 않습니다. 음식을 먹고 술을 마시면 알코올의 흡수가 늦어지기 때문에 덜 취하게 됩니다.


안주로는 지방질이 많은 음식을 삼가고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이 적절히 혼합된 찌개나 채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음주 대신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 봅니다.
술 마시기에 사용하던 시간과 돈을 가족과 재미있게 보내는 일에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맛있는 것 먹기, 영화 관람, 스포츠 등 다른 취미생활을 즐깁니다.

음주 일지를 작성해 봅니다.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1주일 간의 음주 일지를 기록해 봅니다.
3~4 주 동안 계속해서 기록하여 언제, 얼마나 마셨는지를 알아봅니다.
처음에 정한 목표와 실제로 마신 양을 비교해 봅니다.


음주일지 - 음주일지는 절주의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술마신 장소, 마신 술의 종류, 마신 잔의 수, 자신의 음주습관을 기록합니다.
[ 음주일지 ]


만약 결심을 지키지 못했다면 어떻게 하나요?

포기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한 번에 모든 것을 다 이루기란 어렵습니다. 올바른 절주 습관 정착을 위해서 지속적인 실천 의지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포기하지 않는 의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실패 사실에 좌절하기보다는 경험을 살려 다시 한 번 도전해 봅니다.

 

올바른 음주 습관을 위해 이전에 세웠던 계획을 다시 한 번 검토해 봅시다.
언제, 누구와, 어떤 술자리에서 술을 많이 마시게 되었는지 되짚어 봅니다.
일상생활이나 술자리에서 술을 많이 마시게 하는 원인을 찾아봅니다.

이전의 실패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새로운 계획을 세워 봅니다.
술을 많이 마시게 한 원인을 찾아내면 그 원인에 대한 해결 방안을 고민해 본 후 다시 계획을 수립합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폭음의 경우 스트레스를 줄이거나 운동이나 취미 생활 등 다른 해결책을 찾아봅니다. 한편, 주변 사람들의 권유에 의한 폭음의 경우 다시 본인의 계획을 공표거나 친구와 함께 절주를 선언하는 등 계획 실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사항들을 계획에 포함시킵니다.

스스로 새로운 계획 수립이 어려운 경우, 알코올 상담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